"뇌에 치매 저항하는 기전 있다"<美연구팀>

2014. 9. 15. 10:1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인간의 뇌에는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을 억제하는 기전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 신경과학연구소의 윌리엄 재거스트 박사는 치매의 초기단계 변화가 나타났을 때 뇌는 정상기능 유지를 위해 추가적인 신경기능을 작동시켜 대응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의 BBC뉴스 인터넷판과 과학뉴스 포털 피조그 닷컴(Physorg.com)이 14일 보도했다.

뇌신경세포에 치매로 이어질 수 있는 독성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노인반)가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나면 이를 보상하기 위해 다른 뇌부위의 활동이 증가하는 이른바 뇌의 가소성(plasticity)이 작동된다고 재거스트 박사는 밝혔다.

뇌의 가소성이란 중추신경계의 적응능력, 즉 자체의 구조와 기능을 조절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뇌신경세포에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나타난 노인들 중 어떤 사람은 기억력이 크게 떨어지면서 치매로 이행되고 또 어떤 사람은 인지기능이 유지되면서 치매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는 것인지도 모른다고 재거스트 박사는 말했다.

그의 연구팀은 인지기능이 정상인 성인 71명을 대상으로 뇌 스캔을 시행한 결과 16명이 뇌신경세포에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들 모두에게 기억력 테스트를 시행하면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활동을 관찰했다.

먼저 여러 장면이 찍힌 사진들을 보여주고 난 다음 어떤 장면을 설명하는 글(이를 테면 물구나무서기 하고 있는 소년)을 보여주면서 앞서 본 사진 중에 이런 장면의 사진이 있었는지를 묻는 '핵심 기억'(gist memory) 테스트를 실시했다.

이어 특정 장면 사진의 세밀한 부분을 글로 써 주면서(이를 테면 특정 장면에 나오는 소년의 상의 색깔) 그것이 맞는지를 묻는 테스트를 진행했다.

전반적으로 성적은 모두가 비슷했다. 그러나 fMRI 분석결과 보다 세밀하고 복잡한 기억일 수록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가진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많은 뇌부위에서 활동이 나타났다.

이는 뇌가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에 의한 손상에 적응하고 이를 보상하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재거스트 박사는 설명했다.

그러나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가진 사람 모두가 아닌 일부에게서 이러한 뇌의 가소성이 나타난 이유는 확인되지 않았다.

과거에 발표된 연구결과들을 보면 평생 뇌를 자극하는 활동을 한 사람은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적게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평생 인지기능을 자극하는 생활을 한 사람은 뇌의 손상에 적응하는 능력이 다른 사람에 비해 뛰어난 것으로 생각된다고 재거스트 박사는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의학전문지 '네이처 신경과학'(Nature Neuroscience) 최신호(9월14일자)에 실렸다.

skhan@yna.co.kr

버려진 시신에 경찰출동…알고 보니 성인용품 인형
특전사 중사가 후임 하사들에 '전기고문식 가혹행위'
아이돌 그룹 블락비, 모스크바에서도 '난리나'
호주 골퍼 그레그 노먼, 전기톱에 왼손 잘릴 뻔
"고학력일수록 여성이 남성보다 취업 어려워"

▶ 이슈에 투표하고 토론하기 '궁금한배틀Y'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